WombStory 13호_응급 산과 질환
- Home
- WombStory 13호_응급 산과 질환
Magazine Overview

저자
Keyword
Greeting
WombStory 독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연구실 창밖으로 새파란 하늘과 하얀 구름이 눈부신 4월의 봄날입니다.
그러나 2020년 봄은 COVID-19 대유행 속에서 정말 잔인한 봄이 되고 말았습니다.
노란 개나리, 시리도록 하얀 목련, 흐드러진 벚꽃을 따스한 봄빛 속에 맘껏 즐길 수 있었던 일상이 아쉽고 그리운 봄날입니다. 아직도 전 세계가 COVID-19 대유행 속에서 어두운 터널의 끝을 아직 찾지 못하고 있는 암울한 시간이기에 “안녕하십니까?”라는 인사가 새삼 새롭게 마음에 와닿는 것 같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건강과 안전을 기원하며, 어려운 시기이지만 서로 격려하며 위로받는 시절이 되길 기원합니다.
이번 WombStory 13호는 “응급 산과 질환”을 주제로 하여 편집을 하였습니다.
산과의 응급질환은 다른 응급질환과 달리 산모와 태아의 두 생명을 함께 지켜야 하기에 그만큼 더 중요하고 더욱 응급을 필요로 하는 질환이라 생각됩니다.
이에 본 호에서는 전치/하위태반 출혈 시 응급대처, 탯줄 탈출, 태반 조기박리, 임신 중 자간증, 분만 진통 중 자궁파열, 양수색전증 등을 주제로 각 대학의 산과 전문의 교수님들의 옥고를 모아 발간을 하게 되었습니다.
마지막에는 Special Column으로 대한모체태아의학회 회장께서 “산부인과 불가항력 의료사고 국가배상에 대한 제언”을 기고하여, 저출산과 저수가 그리고 불가항력적 의료사고의 부적절한 배상제도 등으로 붕괴 직전에 놓인 산과 인프라를 지키기 위한 소중한 제언을 해 주셨습니다. 이 제언이 제도권에서 하루속히 수용되어, 산과 인프라 붕괴를 막을 수 있는 길이 열릴 수 있도록 다 함께 염원해주시길 바랍니다.
WombStory는 환자 진료 시 독자 여러분과 늘 함께 하는 잡지가 될 것임을 약속드립니다.
마지막으로 귀한 원고를 집필해 주신 교수님들과 원고 감수와 편집을 위해 수고해 주신 편집위원님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고맙습니다.
이화의대 이대목동병원
김승철
칼럼 리스트
권자영, 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 산부인과, WombStory 13호, Apr 2020, p.6~9
선행제왕절개수술력, 유산시술력, 다분만부, 자궁수술력, 흡연, 다태아 임신, 보조 생식술을 통한 임신, 자궁근종 등 위험인자를 가지는 산모의 산전 초음파 검사를 시행할 때 태반의 위치에 대한 평가에 주...
최규연, 순천향의대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 산부인과, WombStory 13호, Apr 2020, p.10~14
탯줄 탈출은 0.16~0.18%의 빈도로 매우 드물게 발생하지만 태아 사망률은 3.5~19%에 이르는 치명적인 산과적 응급질환이다. 신생아의 예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탯줄 탈출을 빠르게 인지하고 대처...
박인양, 가톨릭의대 서울성모병원 / 산부인과, WombStory 13호, Apr 2020, p.15~18
태반조기박리는 태아 만출 이전에 태반이 자궁벽에서 떨어지는 것으로 가장 흔한 증상과 징후는 질 출혈과 복부 및 허리의 통증이다. 조기에 발견하지 못하면 심각 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질환으로, 태아...
성지희,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 산부인과, WombStory 13호, Apr 2020, p.19~22
자간증은 전자간증 임신부에서 경련이 발생한 경우를 의미하며 이는 임신 중 출혈, 감염증과 더불어 모성사망의 주요 원인이다. 황산마그네슘을 사용하여 경련의 재 발을 막고, 조속한 분만을 통해 모체와 태아...
김수현, 차의과학대 강남차병원 / 산부인과, WombStory 13호, Apr 2020, p.23~26
‘한번 제왕절개수술을 하면 다음 임신 때도 반드시 제왕절개수술을 해야 하나요?’ 이 질문의 핵심은 자궁파열의 위험성이다. 1988년부터 ACOG에서 제왕절개술 후 질식분만(VBAC)도 하나의 선택지로 ...
박선화, 김영주, 이화의대 이대목동병원 / 산부인과, WombStory 13호, Apr 2020, p.27~29
양수색전증은 40,000~50,000 분만당 1건으로 드물게 발생하는 질환이나 여전히 모성사망률의 5~15%를 차지하는 치명적인 산과적 합병증이다.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서 산모가 갑작스러운 심폐기능의...
김윤하, 전남의대 전남대학교병원 / 산부인과, WombStory 13호, Apr 2020, p.30~33
불가항력 의료사고는 의학적으로 어떻게 할 수 없는 것들이니 분만인프라 붕괴에 직면한 산부인과 의료 현실을 외면하지 말고 이에 대한 타당한 국가배상 해법이 빨리 나오길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