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MindUp 4호_주요 정신질환의 국내외 최신 임상진료지침 리뷰

Magazine Overview

발간일: 2020-09-25
MindUp 4호_주요 정신질환의 국내외 최신 임상진료지침 리뷰

저자

남범우, 전덕인, 박영민, 이강수, 김원, 고영훈, 박성용, 심세훈, 우영섭

Keyword

조현병, 약물치료, 양극성장애, 약물치료, 우울장애, 인지장애, 강박장애, 임상진료지침, COVID 19 pandemic, 외상후스트레스장애, 학대와 방임, 반려동물
celltrion_side banner
hanmi_science_side
ILDONG
코오롱제약(주)
일동후디스
SK케미칼
대웅제약

Greeting

독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무더운 날씨와 긴 장마에 이어 태풍까지 겹쳐진 힘든 시기입니다.
더욱이 COVID-19로 인한 세계적 재난에도 의연함을 잃지 않고
진료 현장을 지키고 계신 정신건강의학과 선생님들께 감사와 안부의 말씀을 전하며,
이번에 발간되는 정신건강의학과 최신정보지 4호를 소개해 드립니다.

이번 4호에서는 우리가 진료시 꼭 알아야 할 주요 정신질환의 국내외 최신 임상진료지침을
다루어 보려 합니다. 정신건강의학과 영역에서 가장 흔하게 접하는 조현병, 양극성장애,
우울장애, 인지장애, 불안 및 강박장애 그리고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등
주요 질환의 진료지침 및 약물치료지침 리뷰를 통하여 실제 진료에 많은 도움이 되실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또한 SPECIAL COLUMN에서는 COVID-19 pandemic-정신건강의학과의 역할,
학대와 방임이 아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 반려동물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등
최근 사회적으로도 중요한 이슈이면서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시의적절하고 의미 있는 3가지 주제를 선정하였습니다.

COVID-19 pandemic 상황에도 불구하고 기꺼이 집필을 맡아주신 집필진과
주제 선정 및 감수에 힘써주신 편집위원께 감사의 말씀을 전하며,
우리 모두가 이 어려운 시기에 항상 건승하기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가톨릭대학교여의도성모병원
박원명

celltrion_middle banner
koron_middle_main
DAEWOONG_MIDDLE_MAIN

칼럼 리스트

1. 국내외 조현병 약물치료 지침 비교

남범우 건국대학교충주병원 / 정신건강의학과, MindUp 4호, September 2020, p.6~11

2019년 개발된 한국형 조현병 약물치료 지침서(KMAP-SCZ 2019)는 1)정신병 증상에 대한 치료, 2) 동반증상에 대한 치료, 3) 항정신병약물 사용에 의한 부작용의 치료 알고리듬 등 3영역으...

2. 한국형 양극성장애 약물치료 지침의 변화

전덕인 한림대학교성심병원 / 정신건강의학과, MindUp 4호, September 2020, p.12~15

양극성장애 환자의 치료에 있어 임상의가 내릴 판단과 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국내외에서 여러 치료지침(guideline)들이 개발되었다. 대부분의 지침은 임상시험에서 나온 근거들에 기초하였지만, 이러...

3. 우울장애의 치료 지침

박영민 인제대학교일산백병원 / 정신건강의학과, MindUp 4호, September 2020, p.16~20

치료 지침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근거 중심의 치료 지침이다. 이는 말 그대로 출간된 randomized controlled study (RCT)와 메타분석 등을 종합한 지침이다....

4. 인지장애에 관한 임상 가이드라인

이강수 차의과학대학교분당차병원 / 정신건강의학과, MindUp 4호, September 2020, p.21~24

인지장애에 관한 임상 가이드라인은 아직 많지는 않습니다. 이러한 가이드라인 중에서 치매의 예방에 관한 가이드라인, 경도인지장애에 관한 가이드라인, 국내에서 치매의 진료지침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살펴보고자...

5. 불안장애 및 강박장애의 최신 임상진료지침 리뷰

김원 인제대학교상계백병원 / 정신건강의학과, MindUp 4호, September 2020, p.25~28

외상후스트레스장애는 외상 사건을 경험하거나 목격한 이후 침습, 지속적 회피, 인지와 기분에서의 부정적 변화, 외상 사건과 관련된 각성과 반응성에서의 뚜렷한 변화가 발생하는 질환이다.

...
6. COVID 19 pandemic - 정신건강의학과의 역할

박성용 계요병원 / 정신건강의학과, MindUp 4호, September 2020, p.32~35

COVID-19 팬데믹이 장기화되면서 COVID-19 감염환자뿐 아니라 일반인, 보건 의료 종사자들에서 정신건강에 대한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

...
7. 학대와 방임이 아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

심세훈 순천향대학교천안병원 / 정신건강의학과, MindUp 4호, September 2020, p.36~41

• 아동학대 발생률을 포괄적 기준으로 적용할 경우 55.6%로 아동학대가 매우 많이 발생하고 있다.

...
8. 반려동물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우영섭 가톨릭대학교여의도성모병원 / 정신건강의학과, MindUp 4호, September 2020, p.42~48

반려동물을 키우는 것은 어린이의 정서적 발달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성인의 정서와 사회성, 신체적 안녕감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