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Mind Up 20호 - 양극성장애: What to Know in Clinical Practice

Magazine Overview

발간일: 2024-09-27
Mind Up 20호 – 양극성장애: What to Know in Clinical Practice

저자

이강수, 홍정환, 정영은, 양찬모, 임은성, 서정석, 우영섭, 송민규

Keyword

양극성장애, 경조증,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부모, 자녀, 알코올, 마약, 항우울제, Zolpidem, Eszopiclone
ILDONG

Greeting

Mind Up 독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아직도 지속되는 폭염에도 불구하고, 아침과 저녁으로는 가을의 문턱에 와있음을 느끼게 하는
9월이 시작되었습니다. 힘들고 지루했던 여름철에도 진료 현장을 지켜 주신
정신건강의학과 선생님들께 감사의 인사를 드리며,
이번에 발간되는 정신건강의학과 최신정보지 Mind Up 20호를 소개해 드립니다.

Mind Up 20호에서는 ‘양극성장애: What to Know in Clinical Practice’라는 대주제 하에
양극성장애에서 최근 이슈가 되는 주요 주제를 선정하여 가장 최신의 연구결과와 함께 소개하고자 합니다.
‘양극성장애 환자의 인지기능 평가 및 관리’, ‘경조증은 존재하는가?’,
‘양극성장애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감별진단과 임상적 중요성’,
‘부모의 양극성장애가 자녀들에게 미치는 영향’, ‘양극성장애는 알코올이나 마약과 어떤 연관이 있을까?’,
‘양극성 우울증에서의 항우울제 사용,득과 실’ 및 ‘양극성장애 치료지침의 비교’ 등의 주제를 최근의 논점을
중심으로 준비하였으며, 내용들 중 일부는 아직 정설로 확정되지 않은 가설이나 전문가 의견일 수도 있지만
양극성장애를 다양하게 조망한다는 면에서 매우 유용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또한 TREND COLUMN에서는 Z-계열 수면제들의 장단점을 심도 있게 분석하고,
나아가 이들 약물들을 언제, 어떻게 임상에서 적절하게 사용해야 할지를 알아보는
‘Zolpidem vs. Eszopiclone vs. Zaleplon 임상적 적용’이라는 매우 흥미로운 주제를 선정하였습니다.

집필을 맡아주신 집필진과 주제 선정 및 감수에 힘을 써주신 편집위원께 감사의 말씀을 전하며,
독자 여러분 모두가 더욱 건승하시길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2024년 9월
Mind Up 편집위원장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박원명

매거지 소개 와이드 광고

칼럼 리스트

1. 양극성장애 환자의 인지기능 평가 및 관리

이강수,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Mind UP 20호, September 2024, p.6~8

Kraepelin이 조기치매(dementia praecox)와 조울병(manic depressive insanity)으로 두 질환을 구분한 이후, 조현병과 양극성장애를 감별하는 임상적 특징 중 하나가 ...

2. 경조증은 존재하는가?

홍정완, 익산병원, Mind UP 20호, September 2024, p.9~13

기분장애는 크게 주요우울장애와 양극성장애로 분류할 수 있고, 두 정신장애의 가장 큰 차이점은 조증/경조증 삽화의 유무이다.

...
3. 양극성장애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감별진단과 임상적 중요성

정영은, 제주대학교병원, Mind UP 20호, September 2024, p.14~17

양극성장애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의 주요 증상은 상당히 유사하고 두 질환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경우도 흔하다.

...
4. 부모의 양극성장애가 자녀들에게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rental bipolar disorder on child development)

양찬모, 원광대학교병원, Mind UP 20호, September 2024, p.18~22

유전경향이 강한 양극성장애의 특성으로 인해 양극성장애의 발생에 있어 가장 중요한 위험요인(risk factor)은 가족력이며, 양극성장애를 가진 부모의 자녀들은 통상적으로 양극성장애 고위험군으로 분류된...

5. 양극성장애는 알코올이나 마약과 어떤 연관이 있을까?

임은성, 신세계효병원, Mind UP 20호, September 2024, p.23~27

양극성장애는 전 세계적으로 약 1~4%의 유병률을 가지며, 여러 메타연구에서 가장 많은 공존질환을 가지는 정신장애 중 하나이다.

...
6. 양극성 우울증에서의 항우울제 사용, 득과 실

서정석, 중앙대학교 광명병원, Mind UP 20호, September 2024, p.28~32

양극성 우울 삽화로 “아무것도 할 수 없고 살기 너무 힘들어 차라리 기분이 뜨는 한이 있더라도, 항우울제 처방받고 싶어요”라고 호소하면 의사는 고민에 빠진다.

...
7. 양극성장애 치료지침의 비교

우영섭,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Mind UP 20호, September 2024, p.33~38

양극성장애 약물치료에 대한 최근의 국내외 주요 치료지침으로는 RANZCP(2020), CINP-BD (2017), CANMAT (2018, 2021), KMAP-BP (2022) 등이 있다. 이들 치료...

8. Zolpidem vs. Eszopiclone vs. Zaleplon 임상적 적용

송민규, 성모공감정신건강의학과의원, Mind UP 20호, September 2024, p.39~43

졸피뎀(zolpidem)은 불면증 치료제로 가장 널리 처방되고 있는 Z-약물(Z class drugs)로 다양한 제형이 개발되어 있어, 수면의 개시 및 유지 모두에 유용하나, 야간 행동 증상 등의 부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