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Mind Up 23호 - 성인 ADHD의 최신 이슈

Magazine Overview

발간일: 2025-06-23
Mind Up 23호 – 성인 ADHD의 최신 이슈

저자

성형모, 양찬모, 김경민, 박성용, 송민규, 서정석, 심세훈, 이정구

Keyword

ADHD, 성인 ADHD, 성인기, 검사 도구, 성인 여성, 임상적 특징, 치매, 장노년기, 지속형 메틸페니데이트, 근거기반, 치료 약물, 약물 치료, 심리치료, 신경자극치료, 네트워크 메타분석, 정신과 약물, 항우울제, 항정신병약물, 뇌과학 언어
ILDONG

Greeting

Mind Up 독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아직까지 해결되지 않고 있는 의료 현안에도 불구하고
진료 현장을 묵묵히 지키고 계신 정신건강의학과 선생님들께 감사의 인사를 드리며,
이번에 발간되는 정신건강의학과 최신정보지 Mind Up 23호를 소개해 드립니다.

이번 Mind Up 23호에서는 최근 들어 정신의학계에서 가장 관심이 많은 질환인
성인 ADHD를 심도 있게 다루어 보려 합니다. “성인 ADHD의 최신 이슈”라는 대주제 하에
“성인기에 발병하는 ADHD는 존재하는가?”, “검사 도구를 활용한 성인 ADHD의 다양한 평가”,
“성인 여성 ADHD의 임상적 특징”,“치매처럼 보이는 그들,사실은 ADHD?–장노년기 ADHD를 의심해야 할 때”,
“장노년기 ADHD의 약물 치료: 최신 지견과 안전성 관리”,
“지속형 메틸페니데이트의 공급 부족 현황과 대체할 수 있는 치료법”,
“근거기반과 임상 현장에서 실제 사용하는 성인 ADHD 치료 약물의 용량” 및
“성인 ADHD에 대한 약물치료, 심리치료 및 신경자극치료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네트워크 메타분석을 통한 효능 및 치료유지 가능성에 대한 비교 결과” 등

성인 ADHD에서 알아야 할 전반적인 내용을 최신의 연구 결과와 논점들을 중심으로 준비하였습니다.
또한 Special Column에서는 새로운 신경정신약물의 분류법과
Neuroscience-based Nomenclature(NbN)와 관련된 “정신과 약물, 이름부터 달라져야 한다.
- ‘항우울제’, ‘항정신병약물’ 대신, 이제는 뇌과학 언어로 설명할 때”라는
매우 의미 있는 주제를 선정하였습니다.

집필을 맡아주신 집필진과 주제 선정 및 감수에 힘써주신 편집위원께 감사의 말씀을 전하며,
독자 여러분 모두가 더욱 건승하시길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Mind Up 편집위원장
우영섭 박원명 정신건강의학과의원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박원명

매거지 소개 와이드 광고

칼럼 리스트

1. 성인기에 발병하는 ADHD는 존재하는가?

성형모,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Mind UP 23호, June 2025, p.6~9

최근 수년간 전세계적으로 성인 ADHD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실제로 성인 ADHD의 과잉진단을 우려해야 할 정도로 국내에서도 진단율과 관련 약물의 처방량이 급속히 증가되고 있다.

...
2. 검사 도구를 활용한 성인 ADHD의 다양한 평가

양찬모, 원광대학교병원, Mind UP 23호, June 2025, p.10~15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는 아동기에 시작되어 성인기까지 증상이 지속될 수 있는 신경발달장애이다.

...
3. 성인 여성 ADHD의 임상적 특징

이문수,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Mind UP 23호, June 2025, p.16~19

성인 여성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는 남성과 다른 증상 양상을 보이며 진단과 치료에서 고유한 어려움이 있다.

...
4. 치매처럼 보이는 그들, 사실은 ADHD? – 장노년기 ADHD를 의심해야 할 때

김경민, 국립나주병원, Mind UP 23호, June 2025, p.20~24

ADHD는 평생 지속될 수 있는 신경발달장애로, 장노년기에도 집중력 저하와 실행기능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일상 기능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

...
5. 장노년기 ADHD의 약물 치료: 최신 지견과 안전성 관리

박성용, 계요병원, Mind UP 23호, June 2025, p.25~28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는 가장 흔한 신경발달장애 중 하나로, 소아의 약 5%, 성인의 약 2.5%에 영향을 미치는 ...

6. 지속형 메틸페니데이트의 공급 부족 현황과 대체할 수 있는 치료법

송민규, 성모공감정신건강의학과의원, Mind UP 23호, June 2025, p.29~34

최근 ADHD 진단이 증가함에 따라, 국내외에서 MPH ER의 수요가 폭증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생산•수입•유통 병목 현상으로 공급 부족이 장기화되고 있다.

...
7. 근거기반과 임상 현장에서 실제 사용하는 성인 ADHD 치료 약물의 용량

서정석, 중앙대학교 광명병원, Mind UP 23호, June 2025, p.35~39

멀티 AI에이전트가 탑재되어 있는 내 진료 컴퓨터에 방금 진료를 마친 성인 ADHD 환자의 약물치료 계획을 세우기 위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
8. 성인 ADHD에 대한 약물 치료, 심리치료 및 신경자극치료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네트워크 메타분석을 통한 효능 및 치료유지 가능성에 대한 비교 결과

심세훈,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Mind UP 23호, June 2025, p.40~47

성인 ADHD에 대한 이용 가능한 중재의 비교 이점과 위해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데이터베이스에서 성인 ADHD에 대한 약물학적 및 비약물학적 치료를 조사하는 공개 및 미공개 무작위 대조 시험을 검색...

9. 정신과 약물, 이름부터 달라져야 한다. - ‘항우울제’ ‘항정신병약물’ 대신, 이제는 뇌과학 언어로 설명할 때

이정구, 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 Mind UP 23호, June 2025, p.48~51

“이 약은 항정신병약물인데, 우울증 치료에 같이 쓰입니다.”진료실에서 환자에게 이렇게 설명하면, 곧잘 나오는 반응이 있다. “제가 조현병이 있는 건가요?” 또는 “그런 약을 꼭 먹어야 하나요?”라는 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