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ver Update 28호_간질환의 진단 Ⅰ
- Home
- Liver Update 28호_간질환의 진단 Ⅰ
Magazine Overview
Greeting
Liver Update 독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2020년 경자년이 밝았습니다. 올해 계획하고 다짐하신 일들이 모두 잘 성취되길 기원합니다.
이번 Liver Update 28호에서는 혈액으로 검사할 수 있는 간질환의 진단 방법을 다루었습니다.
임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간기능 검사는 간질환을 진단하고 중증도를 판정할 뿐만 아니라 간질환의 경과를 보는 데도 도움을 주지만 진단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환자의 병력, 진찰소견, 혈청검사 및 영상검사를 참조해서 판정해야 합니다.
국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급·만성 바이러스성 간염의 진단을 위해 어떻게 바이러스 항원, 항체를 검사할 것인가에 대해 자세히 기술하였습니다. 비바이러스성 간질환에서는 자가면역성 간질환의 진단에 사용하는 ANA, AMA 같은 자가면역 항체의 진단적 가치를 다루었고 기타 질환에서 유용한 혈액 검사를 설명하였습니다.
만성 간질환의 진행상태와 예후를 예측하기 위해 간섬유화 검사가 필수적인데 비침습 간섬유화 검사로 개발된 혈청표지자들의 정확성과 임상 적용 가능성을 자세히 소개하였습니다. 또한 간세포암의 종양 표지자인 AFP, PIVKA-II 등의 진단적 유용성도 이해하기 쉽게 기술하였습니다.
Liver Update에 보내주신 그동안의 성원에 감사드리며, 앞으로 계속 더욱더
알찬 내용으로 독자 선생님들을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리버업데이트 편집책임
한국간재단 이사장
서동진
칼럼 리스트
서동진, 한국간재단 이사장 / 소화기내과, Liver Update 28호, Jan 2020, p.6~11
• 간의 생화학적 검사들은 간질환을 진단하고 심한 정도를 감별하며 치료반응을 평가하는 데 유용하다.
• 간기능 검사의 이상이 나타나는 패턴에 따라 간세포성인지 담즙정체성 간질환인지 감별할 수...
이명석, 한림의대 강남성심병원 / 소화기내과, Liver Update 28호, Jan 2020, p.12~16
• A형 간염은 근래 우리나라 현증 급성 간염의 주원인이며 임상 소견과 함께 혈중 IgM anti-HAV 양성으로 진단한다. 2009년 많은 발생 이후 한동안 주춤하다가 2019년 또다시 대량 발생한 ...
배시현, 가톨릭의대 은평성모병원 / 소화기내과, Liver Update 28호, Jan 2020, p.17~22
한국인의 만성 간질환의 원인으로 B형 간염 바이러스가 약 70%, C형 간염 바이러스가 약 10~20%를 차지하며, 알코올-비알코올 지방 간질환, 약인성 간염, 자가면역간염, 그리고 원인 미상의 간염 ...
안지현, 손주현, 한양의대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 소화기내과, Liver Update 28호, Jan 2020, p.23~27
• 만성 간질환의 치료 결정과 예후를 예측하기 위해 간섬유화 정도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 간섬유화를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혈청 표지자들이 개발되어 있으며, 이들은 간섬유화 ...
최문석,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 소화기내과, Liver Update 28호, Jan 2020, p.28~32
• 간세포암의 대표적인 종양 표지자에는 AFP, PIVKA-II (DCP), AFP-L3가 있습니다. 이들 종양 표지자는 적용 대상 집단과 각 표지자의 cut-off 수준에 따라 상이한 양성률을 보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