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ver Update 15호_B형 간염 업데이트
- Home
- Liver Update 15호_B형 간염 업데이트
Magazine Overview

저자
Keyword
Greeting
안녕하십니까 ?
이번 15호 Liver Update에서는 B형 간염 치료의 최신지견을 소개합니다.
B형 간염 치료 파라다임의 변화에 맞추어 최근 개정된 대한간학회 B형 간염
치료 가이드라인에서 지적된 새로운 변화를 정리하여 임상에서 더욱 유용하
게 쓰일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종전과 달리 일차약으로 테노포비어, 엔테카
비어 그리고 페그 인터페론만이 추천되고 있고 약제 내성 환자에선 2제 병합
치료 외에 테노포비어 단독치료가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일반 B형 간염환자와 다른 특수 환자군에서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에 대
한 내용도 집중적으로 다루었습니다.
HBsAg 양성 가임기 여성에서 임신 전후에 어떻게 B형 간염을 치료해야 하
는지, 수직감염의 예방이나 출산 후의 수유의 안전성 문제는 임상에서 흔히
받는 질문인데 이번 호에서 그 대답을 찾기 바랍니다.
경구용 항바이러스제들은 신장을 통해 배설되므로 B형 간염이 있는 만성 신
부전이나 신장이식 환자들에서 적절한 약제 선택이 중요합니다.
항암치료나 면역억제제를 투여받는 HBsAg 양성 환자들에서는 HBV가 활성
화되어 간염이 악화할 수 있기 때문에 치료 전에 예방적인 항바이러스제 투
여와 정기적인 모니터링이 꼭 필요합니다.
B형 간염환자는 항바이러스제를 장기간 사용하면서 약제에 따라 신기능이
나 골대사에 이상이 올 수 있으므로 부작용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져야 합
니다.
이번 Liver Update가 B형 간염 치료 중에 생기는 궁금증을 해소하는데 도
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무더운 여름, 독자 선생님들의 건승을 빕니다.
리버업데이트 편집책임
한국간재단 이사장
서동진
칼럼 리스트
이관식, 연세의대 강남세브란스병원 / 소화기내과, Liver Update 15호, Jul 2016, p.6~8
만성 B형 간염은 국내의 중요한 사망원인 중의 하나인 간경변증과 간세포암종의 원인이고, 국내에서 가장 많은 만성 간질환이다. 현재 B형 간염 바이러스 예방접종 시행 이후 15세 이하의 소아에서는 B형 ...
임형준, 고려의대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 소화기내과, Liver Update 15호, Jul 2016, p.9~13
서양과 다르게 국내에서의 B형 간염의 전파는 주로 모계로부터의 수직 감염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B형 간염이 있는 임신부가 적절한 예방 조치 없이 출산할 경우 신생아로의 B형 간염 전파율은 70-...
최문석,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 순환기내과, Liver Update 15호, Jul 2016, p.18~20
간질환을 다루는 의사라면 의대생 시절 복수의 발생 기전을 배울 때부터 간과 신장이 긴밀한 관계에 있다는 사실을 익히 알고 있을 것이다. 더욱이 필자처럼 간질환, 특히 진행된 간경변증 환자를 진료하는 의...
김연수, 가천의대 길병원 / 순환기내과, Liver Update 15호, Jul 2016, p.21~23
임영석,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 순환기내과, Liver Update 15호, Jul 2016, p.2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