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JoinOS 20호_슬관절 장애 평가

Magazine Overview

발간일: 2020-07-31
JoinOS 20호_슬관절 장애 평가

저자

배지훈, 빈성일, 김종민, 김성환, 유주형, 이대희, 한승범, 유재두

Keyword

장해 판정, 슬관절 불안정성, 스트레스 X-ray, 슬관절, 기왕증, 급성손상, Measurement of Knee Kinetmatics, 인공슬관절 전치환술, Cartilage Protection, Prospective Randomized, 신체감정
celltrion_side banner
hanmi_science_side
ILDONG
코오롱제약(주)
일동후디스
SK케미칼
대웅제약

Greeting

JoinOS 독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코로나19 사태가 시작된 지 벌써 6개월째가 되어 가고 있습니다.
앞으로 언제 이 사태가 종식될지 막막한 상황입니다.
국민 모두가 힘들고 지치지만 의료진의 정신적, 신체적 과부하가 심각한 상황입니다.
현재의 사태를 극복하는데 의료진의 역할이 가장 중요함은 말할 나위가 없습니다.
막중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의료진분들에게 다시 한번 존경과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기운 차게 하루하루를 지내시기를 기원합니다.

코로나19 사태는 학술 행사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학회주최 및 관련 업계 주관의 거의 대부분의 행사가 상반기에 제대로 열리지 못했습니다.
시간이 감에 따라 우리 모두가 적응해 가면서 점차 정상화 되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JoinOS는 독자 여러분께 도움이 되는 알찬 내용을 전달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본 매거진이 독자 선생님들께 작으나마 도움이 되고 마음의 위로가 되었으면 합니다.

이번 JoinOS 20호는 슬관절 장해 평가를 대주제로 다루었습니다.
앞 부분에서 무릎관절 동요에 대한 올바른 평가, 동요 평가에 중요한 스트레스 X-ray 제대로 찍는법을 다루었습니다.
이어서 기왕증과 급성 손상의 구별, 동요 평가에 대한 향후방향 또한, 인공 관절 수술 후 장해 평가를 다루었습니다.
그 이외에 문헌 리뷰, 단순과 복잡 보험 수가, 신체 감정 실제 사례를 다루어서 진료 및 장해 판정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6개월간의 힘든 시기를 모두가 힘을 합쳐서 잘 헤쳐 왔습니다.
스스로를 잘 추스르고 동료들을 서로 응원하면 어려운 시기를 모두 슬기롭게, 힘차게 헤쳐 나아갈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감사합니다.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빈성일

celltrion_middle banner
koron_middle_main
DAEWOONG_MIDDLE_MAIN

칼럼 리스트

1. 장해 판정을 위한 슬관절 불안정성의 슬기로운 평가

배지훈, 고려의대 구로병원 정형외과, JoinOS 20호, July 2020, p.6~11

장해 판정을 위한 슬관절 불안정성의 평가는 정확한 신체검사가 선행되어야 하고, 불안정성의 정량적 측정을 위해서 관절계(arthrometer)나 부하방사선 영상(stress radiographs) 검사를...

2. 스트레스 X-ray를 제대로 찍으려면?

빈성일,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JoinOS 20호, July 2020, p.12~15

인대 손상 환자를 진료할 때 수술 전 진단에서 수술 후 상태 평가에 이르기까지 없어서는 안될 검사가 바로 스트레스 X-ray 촬영이다. 아무리 유용한 검사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하지 않는 것만 못...

3. 슬관절의 기왕증과 급성손상의 구별

김종민,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JoinOS 20호, July 2020, p.16~19

급성 손상을 여러차례 겪은 대부분의 환자들에게서 자세한 병력청취, 이학적 검사, MRI의 면밀한 관찰 등을 통해 어떤 병변이 최근 손상에 의한 것이고, 어떤 병변이 예전 손상에 의한 것인지 알 수 있다...

4. Future Perspective on Obejective Measurement of Knee Kinetmatics

김성환, 연세의대 강남세브란스병원, JoinOS 20호, July 2020, p.20~24

전방십자인대 손상은 슬관절의 인대 손상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전후의 검사 또한 중요하다.

...
5. 인공슬관절 전치환술을 하면 장애 판정이 가능한가요?

유주형,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JoinOS 20호, July 2020, p.25~26

수술 기구와 수술 수기가 좋지 않았던 과거에는 슬관절 전치환술의 예후가 좋지 않아 장애 등급 판정을 하였으나 최근에는 수술 경과가 좋아져서 수술 후 예후가 나쁘지 않으면 장애 판정에 해당되지 않는다.<...

6. Efficacy of JOINS on Cartilage Protection in Knee Osteoarthritis: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이대희,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JoinOS 20호, July 2020, p.27~30

조인스는 1년 경과관찰 결과 위약군에 비해 통증감소와 기능향상에 효과적이었고 연골보호 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었다.

...
7. 단순과 복잡 사이 “정형외과의 위기“

한승범, 고려의대 고려대학교안암병원, JoinOS 20호, July 2020, p.31~33

비급여 진료가 비대해지는 의료의 왜곡을 막기 위한 보장성 강화의 올바른 시작은 수술 등의 행위 수가를 정상화하는 것부터 시작해야한다.

...
8. 신체감정 실제적 사례 3개

유재두, 이화의대 이대목동병원, JoinOS 20호, July 2020, p.34~36

장해 판정의 사례 중에서 가장 흔한 경우인 외상으로 인한 전방십자인대파열 수술 후 장해에 대한 평가를 소개하고자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