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HeartBit 9호_심혈관질환 예방과 치료에서 당뇨병의 중요성

Magazine Overview

발간일: 2020-05-29
HeartBit 9호_심혈관질환 예방과 치료에서 당뇨병의 중요성

저자

신진호, 정해억, 김광일, 안유란, 김성환, 김철호, 이선화, 하종원, 윤창환, 김민철

Keyword

당뇨병, 대혈관, 합병증, 예방, 혈당, 관동맥, 환자, 수은혈압계, 심혈관 보호제, 말초혈관, 중재시술, 당뇨족, 협심증, 시그마트
신풍제약 Side_1
celltrion_side banner
hanmi_science_side
ILDONG
코오롱제약(주)
일동후디스
SK케미칼
대웅제약

Greeting

2020년 두 번째 HeartBit 9호를 발행하면서…

COVID-19와의 전투가 끝나지 않아, 마음과 몸도 지쳐가고 있습니다.
외국에 비하면 잘 대처하고 있다고 안도감이 있지만 다시 창궐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많은 불확실한 상황에 불안하기까지 합니다. 하루 빨리 이 사태가 안정화 되어, 다시 학회도 하고 외국 여행도 다니며, 일상의 즐거움을 맛보고 싶은 기대감도 있습니다.

이번 9호에서는 당뇨와 심혈관 질환에 관한 것으로 정하였습니다. 당뇨는 인구의 고령화, 비만의 증가에 따라 유병율이 증가되고 이에 의한 대혈관, 소혈관 합병증이 증가되어 많은 의료비를 소모하게 하는 질병의 하나입니다. 합병증의 기전과 예방, 혈당과 혈압의 관리, 관동맥 질환이 동반된 환자에서 PCI와 CABG의 현황, 당뇨족의 주제를 다루어 보았습니다.

약제로는 현재 당뇨 치료제로 각광을 받게 된 SGLT2 억제제의 심혈관 보호 효과를 다루어 보았습니다. 또한 수은 혈압기가 금지되면 외래에서는 어떤 혈압기를 사용하고 어떤 방법을 써서 혈압을 측정해야 하는 가에 대한 개인적인 본인의 의견도 실어 보았습니다.

올해는 유난히 일찍 덥습니다. 곧 장마도 다가올 것입니다.
COVID-19로 심신이 지치고 있지만, 그래도 시간을 내어 적절한 운동과 마음의 휴식을 취하는 것이 더욱 중요할 때 입니다.

시간 나실 때 수록된 글을 보시면서 지식도 정리하실 수 있다면 저희에게는 더 없는 보람이 되겠습니다.

여름 잘 보내시고, 건강히 지내십시오

서울의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김철호

신풍제약 Side_2
celltrion_middle banner
koron_middle_main

칼럼 리스트

1. 당뇨병의 대혈관 합병증과 관리

신진호, 한양의대 한양대학교병원 / 심장내과HeartBit 9호, MAY 2020, p.6~9

1. 혈당과 관련된 대혈관 합병증은 당뇨병 전단계부터 시작되며 당뇨병은 심근경색 기왕력 환자의 심혈관질환의 위험도에 비해 43% 정도 낮은 위험도를 갖는다.

2. 혈당 수치 중 심혈관질환의 ...

2. 당뇨병의 미세혈관 합병증들과 관리

정해억, 한양의대 한양대학교병원 / 심장내과HeartBit 9호, MAY 2020, p.10~15

당뇨병의 미세혈관 합병증은 눈, 신장, 신경계에 분포하는 아주 적은 직경의 혈관에 발생하는 합병증을 말하며, 당뇨병으로 인한 높은 혈당으로 인해 미세혈관 내피세포가 손상되어 발생한다. 미세혈관 합병증의...

3. 당뇨병 합병증 예방을 위한 관리 혈압과 혈당 관리를 중심으로

김광일, 서울의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내과HeartBit 9호, MAY 2020, p.16~19

1. 당뇨병환자에서는 적극적인 혈당조절이 합병증 발생위험을 감소시키나 환자의 상황과 저혈당의 위험을 고려하여 혈당 목표치를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2. 당뇨병 환자에서는 강력한 강압이 도움...

4. 당뇨병을 동반한 관동맥질환 환자의 치료; PCI vs CABG

안유란, 김성환 가톨릭의대 서울성모병원 / 순환기내과 HeartBit 9호, MAY 2020,
p.20~22

약물 용출 스텐트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당뇨환자에서 CABG가 PCI에 비해 비슷하거나 우월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그렇지만, 지금까지의 대부분 시험에서 1세대 약물 용출 스텐트를 사용하였고...

5. [Spcial issue] 수은 혈압기가 퇴출되면 외래 혈압은 어떻게 측정해야 될까?

김철호,서울의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내과 HeartBit 9호, MAY 2020,
p.23~24

2020년부터 수은혈압기의 사용은 금지될 예정이었으나, 국가가 1년을 유예하였다. 외래 밖에서 진료 전에 측정하는 혈압은 백의 효과를 극복하는데 도움은 되지만 옷 위로 측정하는 등의 오류를 시정하여야 ...

6. [Drugs] SGLT2 inhibitor can be used as CV protector?

이선화, 하종원,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 심장내과 HeartBit 9호, MAY 2020, p.25~28

SGLT2 억제제는 사구체에서 여과된 포도당 재흡수를 억제하고 소변으로 포도당이 배출되게 하여 혈당 감소 효과를 가져오는 약으로 혈당 감소 외에도 체중 감소, 이뇨 효과, 혈압 감소 등의 효과를 나타낸...

7. [Case study] 말초혈관 중재시술을 통한 당뇨족의 치료

윤창환,서울의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순환기내과 HeartBit 9호, MAY 2020, p.29~31

당뇨족은 예전에 다리가 썩어가고 결국 다리를 절단해야 하는 병이었다. 하지만, 치료기술의 눈부신 발전으로 원인이 되는 혈관병으로 치료하고 발을 보전할 수 있다. 광범위한 동맥폐쇄로 인해 당뇨족이 발생한...

8. [Focus column] 변이형 협심증과 시그마트

김민철,전남의대 전남대학교병원 / 순환기내과 HeartBit 9호, MAY 2020, p.32~35

1. 변이형 협심증은 관상동맥 연축에 의해 발생하며 치명적인 심실 빈맥, 급성 심장사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2. 변이형 협심증의 1차 치료 약제는 칼슘 길항제이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