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rtBit 3월호 - 심혈관질환에서의 주요 이슈 업데이트
- Home
- HeartBit 3월호 - 심혈관질환에서의 주요 이슈 업데이트
Greeting
2025년 HeartBit 3월호를 발행하면서…
벌써 3월이 되고 봄이 오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의정사태로 인한 혼란은 1년 이상 지속되고 있고 의학교육을 포함한 의료계에는 해결의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국내외로 외교, 경제, 정치가 어지럽게 변화하고 있는 현실에서 나라에 대한 걱정을 모두 많이 하고 계실 것으로 생각합니다.
저도 작년에 시작할 때는 이것도 지나가는 일이겠지 생각하였는데 1년 이상 계속되면서 정부는 해결의 의지를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의료계의 대응이 정부가 원하는 대로 진행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걱정이 듭니다.
이번 호에서는 심장학에서의 최근 이슈 몇 가지를 뽑아서 리뷰하여 보았습니다. 최근 관동맥 시술 후 할혈전제의 치료의 변화 심방세동 환자에서 관동맥시술 후 항혈전제의 치료에 관하여 살펴보았습니다. 처음 NOAC이 도입되고 심장세동이 있는 환자에서 관동맥 시술 후 항혈소판제 2제를 합쳐 3제를 처방하면서 많은 우려를 하였던 시기가 있었으나 이제는 그럴 필요가 없어졌다는 것이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노인에서의 고혈압관리는 노쇠한 노인에서는 목표혈압을 상향하라는 권고를 취급하였습니다. 최근에 시판되기 시작한 비만치료제가 심혈관보호효과가 있다는 몇 가지 연구를 리뷰하였습니다.
일차성 알도스테론증은 과거에 알려졌던 것 보다 빈도가 높고 선종에 의한 경우에도 크기가 작은 것은 수술을 하지 않아도 동일한 예후를 보일 것이라는 경험적 권고가 있습니다.
최근에는 알도스테론 생성차단제가 개발되어 연구중에 있습니다. 이에 대한 리뷰를 하였습니다. 향후 모든 일차성 알도스테론증에서 수술없이 약물치료를 할 날이 도래할지도 모릅니다. 증례에서는 논란이 많은 신동맥 협착에 의한 신동맥고혈압의 증례를 다뤄 보았습니다. 서구에서는 신동맥의 심한 동맥경화가 많고 이에 의한 고혈압은 신동맥 확장술을 하여도 개선되지 않는다는 보고가 많아서 신동맥확장이 권고되지 않지만 국내에서는 아직도 국소적인 병변을 갖은 신동맥협착이 고혈압을 유발하고 이를 조치하면 고혈압이 개선되는 경우도 있어 개별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HeartBit도 발간한 지 여러 해가 지나서 주제 선정에 어려움이 있어 반복된 주제를 취급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되도록 중복되지 않는 주제를 선정하려고 하지만 본인의 과문함이 이를 어렵게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일년에 4번 발간하던 것을 3번으로 변경하려고 합니다. 독자들의 넓은 배려를 바랍니다. 올해도 겨울이 길게 가는 것으로 보아 봄이 없이 긴 여름이 될 것 같습니다. 모두 어려운 환경에서 최선을 다하는 시간에도 건강하시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HeartBit 편집책임
서울의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내과
김철호

칼럼 리스트
전기현 / 서울의대 분당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HeartBit 3월호, March 2025, P6~9
관상동맥질환 환자의 치료에는 혈전생성을 억제하여 혈관 폐쇄를 막는 항혈전치료가 필수적이다.
...이주희 / 충북의대 충북대학교병원 심장내과, HeartBit 3월호, March 2025, P10~15
초고령 및 노쇠한 환자에서 고혈압 치료는 신체적 상태와 노쇠 정도를 고려한 개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다.
...남기병 /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HeartBit 3월호, March 2025, P16~19
심방세동을 동반한 관동맥 환자의 항혈전 치료는 항혈전 효과와 출혈의 두가지 측면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조상호 / 한림의대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순환기내과, HeartBit 3월호, March 2025, P20~23
비만은 전 세계적으로 심혈관질환(cardiovascular disease, CVD) 위험을 증가시키는 주요 요인이다.
...신진호 / 한양의대 한양대학교병원 심장내과, HeartBit 3월호, March 2025, P24~27
알도스테론 합성 효소는 11번 탄소의 hydroxylation이 완료된 중간체가 효소내에 쉽게 빠져나갈 수 없어서 18번 탄소의 hydroxylation과 oxidation이 어느 정도 가능하도록 특화...
윤창환 / 서울의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 HeartBit 3월호, March 2025, P28~31
약물로 잘 조절되지 않는 젊은 환자의 고혈압을 치료할 때 신동맥협착에 의한 고혈압을 의심하고 진단적 검사를 시행 후 필요한 경우 신동맥스텐트삽입술까지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