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rtBit 4호_2018 유럽고혈압학회/유럽심장학회(ESH/ESC) 진료지침
- Home
- HeartBit 4호_2018 유럽고혈압학회/유럽심장학회(ESH/ESC) 진료지침
Magazine Overview
Greeting
시간이 지나가는 것이 너무 빠르다는 것을 느낍니다. 시작한 지 얼마 안 된 것 같았는데 벌써 1년이 지나 4호를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날씨는 벌써 초 겨울이 되어 오늘 아침에 기온이 0도가 되었습니다. 크게 벌어진 일교차로 건강관리에 조심하시기를 바랍니다.
이번 HeartBit 4호의 큰 주제는 유럽심장학회/고혈압학회의 고혈압지침서 입니다. 1호에서는 미국 고혈압지침서를 주제로 하였는데 1년 사이에 2번이나 고혈압 지침서를 다루는 것이 조금은 어렵다는 생각도 들지만 미국의 지침서가 워낙파격적이다 보니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 유럽의 지침서를 다루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또한 대한 고혈압학회의 지침서도 5월에 발표되어 미국, 유럽, 한국의 지침서를 비교하여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도 되었습니다. 그렇지만 전문가들은 비교하는 것이 재미있을 수 있지만 비전문가들은 혼란스러울 수도 있다는 걱정이 듭니다. 편집장으로서 말씀드리는 것은 3개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보다는 3개가 가지고 있는 공통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혈압을 많이 낮추면 심혈관질환의 예방 효과가 크다는 점과 혈압을 일찍 치료하면 장기적 예방효과가 크다는 것이 공통점이라 할 수 있지만 이를 실천하기 위해서 필요
한 증거가 부족하므로 권고의 수준의 차이가 생긴 것이라는 점을 이해하면 차이점을 받아들이기가 쉽습니다.
노인 인구의 증가로 다약제 사용이 많아지고 따라서 약제들에 의한 부작용이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라서 지난번 호에는 신장기능의 이상을 초래하는 약제를 취급하였고 본 호에는 부종을 초래하는 약제를 취급하였습니다. 진료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증례로는 stress induced cardiomyopathy를 실었습니다. 중환자실이나 응급실에서 드물지 않게 볼 수 있는 것으로 house staff들에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올해도 저물어 가고 있습니다. 의료계에도 복잡한 문제가 산적해 있습니다. 오늘의 고민은 내일 생각하는 것이 장수의 길일 수 있습니다. 마음의 여유를 가지시고 늦은 가을의 남은 단풍을 구경하는 것도 좋은 태도일 것입니다.
서울의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김철호
칼럼 리스트
김철호, 서울의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내과, HeartBit 4호, NOV 2018, p.6~7
2018 유럽지침서는 과거에 비하여 많은 변화는 없다. 고혈압의 정의는 그대로 유지하였고 목표혈압도 일차 목표혈압은 그대로 유지하였으나 환자가 견딜 수 있는 경우에는 120대를 유지하라는 권고는 새로운...
신진호, 한양의대 한양대병원 / 심장내과, HeartBit 4호, NOV 2018, p.8~10
1. 유럽 진료지침에서 고혈압은 임상시험에 의해 치료의 효과가 입증된 혈압으로 정의하며 우리나라 지침도 같은 정의를 사용한다.2. 1기 고혈압이면서 중위험군 또는 저위험군에 대한 HOPE-3 연구결과와...
이찬주,하종원 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 심장내과, HeartBit 4호, NOV 2018, p.11~13
2018년 개정된 유럽 고혈압 진료 지침에서는SPRINT 연구와 주요 메타 분석 연구를 토대로목표혈압에 대한 권고를 변경하였다. 보다 강력한 혈압 강하의 중요성을 인정하면서도 부작용및 임상 현장에서 문...
김광일 서울의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내과, HeartBit 4호, NOV 2018, p.14~17
2018년 유럽고혈압지침에서는 고혈압 관리지표의 개선을 위해 처음부터 2가지 약제의 고정용량 복합제를 사용할 것을 추천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백의고혈압을 배제하고, 고혈압 진단이 제대로 이루어져야 한다...
김근호 한양의대 한양대학교병원 / 신장내과, HeartBit 4호, NOV 2018, p.18~20
부종은 심혈관계 질환의 증상이기도 하지만, 고혈압 등 치료제의 부작용으로 발생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신장을 통한 소디움 재흡수 증가 기전이 활성화되어 유발되므로 저염식이 권고 된다. 갑상선기능저하증...
홍그루 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 심장내과 HeartBit 4호, NOV 2018, p.21~24
최근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로 인한 스트레스 심근증이 증가하고 있으나, 스트레스 심근증에 대한 정확한 정보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스트레스 심근증을 효과적으로 진단하고 치료하려면, 이 질환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