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rtBit 2호_심혈관 중재시술의 현황 및 전망
- Home
- HeartBit 2호_심혈관 중재시술의 현황 및 전망
Magazine Overview

저자
Keyword
Greeting
독자 선생님들 안녕하십니까?
본격적인 여름이 다가오며 2호로 찾아뵙습니다. 이번 인사말에는 2호의 내용 소개와 함께 의료계의 현안에 대한 이야기도 나누고자 합니다.
그동안 지방선거, 남북회담, 북미 회담이 있었습니다. 정치적으로 복잡하게 돌아가고 있습니다. 그러나 정치와 관계없이 의료문제는 진행되어야 합니다. 의료문제에서 가장 심각한 것은 문제인 케어에 대한 의료계의 대응이라고 생각합니다. 모든 의료인들이 지혜를 발휘해서 현명히 해결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동안 의료계가 정부에게 당한 배신감을 극복하고 상호 신뢰를 기초로 하면 잘 풀어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래도 배신의 시대이므로 항상 경계는 해야 되겠지요.
이번 2호에서는 최근 발달되고 있는 중재시술을 대주제로 다루었습니다. 본인도 중재시술이 전문이 아니고 빠른 기구들의 발달을 따라가지는 못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정확한 적응증인 경우에 시행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진단하는 측과 시술하는 측이 분리되어 있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향후 우리나라에서도 심장학 전문의가 많아지면 두 가지 분야를 전공하는 사람이 따로 판단하여야 시술 필요에 대한 객관성이 유지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미래사회의 가장 중요한 화두의 하나는 인구의 고령화이지만 그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인구의 감소입니다. 인구의 감소는 인류가 경험하여보지 못한 일입니다. 그러나 인구의 감소는 노인의 증가와 연결되어 있어서 매우 복잡한 문제를 일으킬 것입니다. 본 호의 special issue에서는 이에 대한 간단한 의견을 제시하여 보았습니다.
이외에 항혈소판제나 항응고제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므로 수술이나 시술 전에 ‘어떻게 하면 출혈의 위험을 줄이면서 혈전은 최소화할 수 있을지’에 대한 내용을 다루어 보았고, 대동맥 협착증에 경피적 판막 삽입술의 증례도 함께 다루었습니다. 고령화 시대와 대동맥 협착증 중재시술의 시대가 도래하였습니다. 독자 선생님들이 이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진료에 궁극적인 도움이 되는 내용이 되기를 희망합니다.
더운 여름에 좋은 시간 보내기 바랍니다. 다음 호에는 더욱 알찬 내용을 준비하여 의료지식의 항상에 기여하도록 하겠습니다.
서울의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김철호
칼럼 리스트
윤창환, 서울의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순환기내과, HeartBit 2호, MAR 2018, p.6~10
관상동맥 중재시술은 지난 40년간 눈부신 발전을 거듭해 왔다. 급성심근경색, 협심증 등 다양한 질환에서 관상동맥 중재시술은 환자들의 생존과 삶의 질을 향상시켜왔다. 미래에도 관상동맥 중재시술은 다양한 ...
나승운, 고려의대 고려대학교구로병원 / 순환기내과, HeartBit 2호, MAR 2018, p.11~14
1. 현재 국내에서 당뇨병을 포함한 심혈관질환과 관련된 위험인자들과 관상동맥질환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동맥경화성 하지혈관질환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2. 말초동맥질환 환자들은 일단 심혈관사건 즉...
고윤석, 가톨릭의대 서울성모병원 / 순환기내과, HeartBit 2호, MAR 2018, p.15~17
경피적 대동맥 판막 삽입술(transcatheter aortic valve implantation, TAVI)은 중증의 대동맥 판막 협착증 환자에서 시행할 수 있는 시술적 치료 방법이다. 주로는 수술이...
최익준, 가톨릭의대 인천성모병원 / 심장혈관내과, HeartBit 2호, MAR 2018, p.18~21
경피적 대동맥 판막 삽입술(transcatheter aortic valve implantation, TAVI)은 중증의 대동맥 판막 협착증 환자에서 시행할 수 있는 시술적 치료 방법이다. 주로는 수술이...
김철호, 서울의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내과, HeartBit 2호, MAR 2018, p.22~24
대한민국의 인구는 10년 이후에는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혼 인구의 증가 및 출생률의 감소로 인구감소의 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이다. 의료계는 인구감소를 예상하여 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인구감...
최기준,안정민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 심장내과, HeartBit 2호, MAR 2018, p.25~28
항응고제나 항혈소판제를 수술 전 중단해야 하는 경우, 중단 시 혈전색전증이나 스텐트 혈전증의 위험도와 사용 시 출혈 위험도를 각 개인의 상황에 맞게 동시에 고려하여야 하고, 중단 기간도 신규 경구용 항...
심지영,하종원 연세의대 신촌세브란스병원 / 심장내과, HeartBit 2호, MAR 2018, p.29~32
이 증례는 87세의 고령이며 증상과 징후가 모두 또렷한 심한 대동맥 판막 협착증 환자이다.최근 고령화 사회에 이와 같은 임상상황에서 개흉수술의 위험도가 높은 환자들을 종종 만나게 되며, 이 증례도 수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