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nejour 20호 - 골다공증의 진단 업데이트
- Home
- Bonejour 20호 - 골다공증의 진단 업데이트
Magazine Overview
![Bonejour 20호 – 골다공증의 진단 업데이트](https://umtmagazinstorage.blob.core.windows.net/staticresource/2022/09/UMT_Bonejour20호-550x784.jpg)
저자
Keyword
Greeting
Bonejour 독자 여러분 안녕하신지요.
무덥던 여름이 지나가고 가을의 문턱에 접어든 9월입니다.
이번 호에서는 골다공증의 기초 분야에 이어 골다공증 진단에 대하여
정리해 보았습니다.
Central DEXA부터 Peripheral DEXA, QUS, QCT까지 정리해 보았으며,
골표지자의 개념과 함께 이에 대한 세부 사항까지 기술해 보았고
TBS에 대해서도 다시 한번 그 중요성을 강조해 보았습니다.
이와 함께 추가적인 진단방법으로 무엇이 있는지, 골절 예측의 머신러닝 모델과 고령화되면서
그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증상이 경미한 척추 골절의 진단에 대해서도 알아보았습니다.
아무쪼록 가을철 건강 관리에 유념하시면서,
이번 호의 내용도 독자 여러분들의 진료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감사합니다.
2022년 9월
Bonejour 편집책임
한양의대 한양대학교구리병원 박예수
칼럼 리스트
송재연, 가톨릭의대 서울성모병원/산부인과, Bonejour 20호, September 2022, p.6~9
이중 에너지 방사선 흡수법(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은 WHO 나 ISCD(international society for clinical densitometr...
양승오, 동남권원자력의학원/핵의학과, Bonejour 20호, September 2022, p.10~13
pDXA에서 제공되는 T-점수로는 요골 1/3(33%) 부위에서 측정한 경우만 WHO 진단 기준에 의거하여 골다공증의 진단이 가능하다.
...신성재,홍남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내분비내과, Bonejour 20호, September 2022, p.14~17
골다공증을 진단하는데 있어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골밀도(Bone mineral density)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시훈,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내분비내과, Bonejour 20호, September 2022, p.14~17
우리 몸을 건물에 비유했을 때 골격은 건물을 지탱하는 골조에 해당하는데 아무리 단단한 철근콘크리트를 사용하더라도 100년 가까이 유지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동옥, 국립암센터, Bonejour 20호, September 2022, p.21~27
골다공증 치료제 사용 후 효과 판정을 위한 골표지자 검사는 비스포스포네이트의 경우 치료 시작 후 3개월에 권고된다.
...최한석, 동국의대 동국대학교일산병원/내분비내과, Bonejour 20호, September 2022, p.28~30
골다공증은 낮은 골밀도와 골의 미세구조 손상으로 골강도가 감소하여 골절의 위험도가 증가하는 질환이다.
...송광섭, 중앙의대 중앙대학교병원/정형외과, Bonejour 20호, September 2022, p.31~34
증상이 경미한 취약성 척추골절의 진단 시 골밀도 검사 결과는 참고 자료이며 임상적 의심이 가장 중요하다.
...김영상, 차의과학대 분당차병원/가정의학과, Bonejour 20호, September 2022, p.35~39
2016년 알파고라는 바둑 알고리즘과 프로 기사였던 이세돌 9단의 경기 소식은 전 세계를 떠들썩하게 만들었다.
...김훈, 서울의대 서울대학교병원/산부인과, Bonejour 20호, September 2022, p.40~42
1940년대부터 Fuller Albright가 폐경 후 골다공증을 정의하며 골밀도의 중요성이 대두되었고, 1960년대부터 골밀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비들이 개발되어 정량적인 골밀도 측정이 가능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