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Mind up 5호 - 정신건강의학과 환자들이 흔히 묻는 질문들

Magazine Overview

발간일: 2020-12-21
Mind up 5호 – 정신건강의학과 환자들이 흔히 묻는 질문들

저자

박원명, 박성용, 정종현, 전덕인, 서정석, 이강수, 우영섭, 김원, 박영민, 남범우

Keyword

정신건강, 식이요법, 프로바이오틱스, 장내유익균, 술, 우울증, 생활리듬, 원예, 숲, 체험, 빛 공해, 시간
celltrion_side banner
hanmi_science_side
ILDONG
코오롱제약(주)
일동후디스
SK케미칼
대웅제약

Greeting

Mind Up 독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COVID-19 pandemic이 발생한지 벌써 1년이 되어 가지만 아직도 진정될 기미는 보이지 않고,
암울한 2020년 연말을 맞이하게 되었습니다.그나마 다행스럽게도
코로나 백신개발이 임박했다는 최근의 뉴스는
다가오는 2021년 새해에 우리 모두가 일상의 생활로 다시 돌아갈 수 있을 것이란 희망을 가지게 합니다.
어려운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진료현장을 지키고 계신
정신건강의학과 선생님들께 감사와 안부의 말씀을 전하며,
이번에 발간되는 정신건강의학과 최신정보지 Mind Up 5호를 소개해 드립니다.

이번 Mind Up 5호에서는
진료시 “정신건강의학과 환자들이 흔히 묻는 질문” 들에 대하여 다루어 보려 합니다.
‘식사는 어떻게 하면 좋은가요? – 정신건강과 식이요법’,
‘프로바이오틱스(장내 유익균)가 우울증에 도움이 되나요?’,
‘커피와 정신건강’, ‘술을 마시면 우울해진다고요?’, ‘우울증과 생활리듬’,
‘정신건강에 좋은 운동 – 언제, 어떻게, 어떤 운동을 해야 하나?’,
‘정신건강에 좋은 환경은?-원예,숲체험 등 환경의 조정과 활용’등
최근 들어 정신건강의학과 환자들이 흔히 묻는 7개의 질문을 선별하여 정리하였으며,
실제 진료에 많은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합니다. 또한 SPECIAL COLUMN에서는 ‘정신건강과 빛 공해’와
‘정신질환은 시간도 다르게 흐르게 한다!’는 흥미로운 2가지 주제를 선정하였습니다.

어려운 환경에도 불구하고 집필을 맡아주신
집필진과 주제 선정 및 감수에 힘써주신 편집위원께 감사의 말씀을 전하며,
독자 여러분 모두가 이 어려운 시기에 항상 건승하시기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Mind Up 편집위원장
가톨릭대학교여의도성모병원
박원명

celltrion_middle banner
koron_middle_main
DAEWOONG_MIDDLE_MAIN

칼럼 리스트

1. 식사는 어떻게 하면 좋은가요? – 정신건강과 식이요법

박성용, 계요병원, Mind UP 5호, December 2020, p.6~9

예로부터 동, 서양을 막론하고 적절한 식이요법이 신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정신 적 건강에 중요하다는 주장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
2. 프로바이오틱스(장내유익균)가 우울증에 도움이 되나요?

정종현, 가톨릭대학교성빈센트병원, Mind UP 5호, December 2020, p.10~12

장내 미생물총의 변화 특히, Lactobacillus, Bifidobacterium, Coprococcus, Dialister 등이 우울증과 관련되어 있다는 보고들이 있다. 아직까지 이에 대한 충분한 ...

3. 커피와 정신건강

전덕인, 한림대학교성심병원, Mind UP 5호, December 2020, p.13~16

현대인의 생활에서 이제 커피는 빼놓기 어려운 하나의 일상이다. 성인 중에서 커피에 대한 민감성을 가졌거나 노년층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사람이 커피를 즐길 것이다. 이렇듯 커피의 섭취는 매일 반복되기 때문...

4. 술을 마시면 우울해진다고요?

서정석, 건국대학교충주병원, Mind UP 5호, December 2020, p.17~19

알코올은 약리적으로 중추신경 억제제(depressant)로 분류한다. 뇌의 기능을 억제한다는 의미이다. 술을 먹고 취하면, 즉 급성 중독상태가 되면, 평소 자제하도 록 자신을 억제하고 있는 뇌기능을 알...

5. 우울증과 생활리듬

이강수, 차의과학대학교분당차병원, Mind UP 5호, December 2020, p.20~23

생체시계는 24시간을 주기로 맞춰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외부환경과 동조 화를 이룰 필요가 있으며 빛이 가장 강력한 자이트게버(zeitgebers)로 알려져 있다. 빛 이외에도 사회적 자이트게버인 대...

6. 정신건강에 좋은 운동 –언제,어떻게,어떤운동을해야하나?

우영섭, 가톨릭대학교여의도성모병원, Mind UP 5호, December 2020, p.24~29

운동은 신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정신건강에도 매우 중요하다. 운동은 뇌의 기 능 유지에필수적인 신경전달체계 및 여러 뇌세포의 기능 조절 체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정신건강을 호전시킬 수 있다.

...
7. 정신건강에 좋은 환경은? -원예,숲체험등환경의조정과활용

김원, 인제대학교상계백병원, Mind UP 5호, December 2020, p.30~33

정신건강과 마음의 평화를 위해서는 생활의 터전인 환경도 좋아야 한다. 어떤 환 경이 정신건강에 좋으며, 환경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이전부터 많은 경험과 연구들이 있었다.

...
8. 정신건강과 빛 공해

박영민, 인제대학교일산백병원, Mind UP 5호, December 2020, p.34~36

도시화와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대단지의 주거 시설이 집중화되고 이로 인한 대 규모의 상업 시설이 생겨나게 된다. 24시간 문을 여는 편의점을 비롯하여 밤늦 게까지 일을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9. 정신질환은 시간도 다르게 흐르게 한다!

남범우, 건국대학교충주병원, Mind UP 5호, December 2020, p.37~41

우리가 경험하는 시간은 시계가 가리키는 절대적 시간이 아니다. 시간 경험은 신경 네트워크의 결과로 복잡한 인지와 운동 기능의 산물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