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MB STORY 30호: 복강경 수술 총론
- Home
- WOMB STORY 30호: 복강경 수술 총론
Greeting
안녕하십니까.
만물이 소생하는 4월에 존경하는 동료, 의료인 여러분, 그리고 WOMB STORY를 사랑해주시는 독자 여러분께 인사드립니다.
이번 WOMB STORY 30호에서는 다공 복강경 수술의 Entry부터 다양한 수술 기구의 활용, 그리고 피할 수 없는 합병증의 예방과 대처에 이르기까지, 복강경 수술의 전 과정을 심도 있게 다룹니다.
• 복강경 수술, 그 정수를 탐구하다: 윤주희 교수님의 “Entry와 관련된 팁”은 수술의 첫걸음을 내딛는 모든 이들에게 명확한 방향을 제시하며, 정근오 교수님의 ‘복강경 합병증(장, 요관)’은 수술의 잠재적 위험을 줄이고, 예상치 못한 상황에 침착하게 대처할 수 있는 지혜를 제공합니다.
• 수술 기구, 혁신을 말하다: 전통적인 수술 기구부터 최첨단 장비에 이르기까지, 산부인과 수술의 발전을 이끌어온 다양한 지혈 도구들을 소개합니다. 이원무 교수님의 ‘복강경 기구 1(지혈 관련 conventional)’은 전통적인 지혈 관련 기구를, 오영택 교수님의 ‘복강경 기구(지혈 외)’는 최근 소개되는 새로운 기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수술 중 지혈과 관련한 필수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독자 여러분은 더욱 안전하고 효과적인 수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임상 현장의 지혜를 나누다: 김태훈 교수님의 “합병증 발생 위험을 최소화하는 복강경 수술 팁”에는 수많은 경험을 통해 얻은, 수술의 완성도를 높이고 합병증 발생률을 낮추는 데 기여할 값진 통찰이 담겨 있습니다. 또한, 김정식 교수님의 “Single Port: Open and Close Umbilical suture technique”는 수술 후 환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섬세한 기술을 소개합니다.
WOMB STORY 30호는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독자 여러분의 임상 경험과 지식을 풍부하게 만들어줄 것입니다.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25년 4월 WOMB STORY 편집책임
서울대학교병원 산부인과
김재원
칼럼 리스트
윤주희 /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산부인과, WOMB STORY 30호, April 2025, P6~9
다공복강경 수술에서 Entry는 매우 중요하다. 텔레스코프(telescope), 수술에 사용하는 기구들의 접근이 용이하고 해당 기구를 다루는 집도의, 수술조수의 동선이 겹치지 않게 적절한 거리와 위치에...
이원무 / 한양대학교병원 산부인과, WOMB STORY 30호, April 2025, P10~13
산부인과 복강경 수술과정에서 지혈은 매우 중요한 단계로, 상황에 따라 적절한 기구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러한 요구에 발맞추어서 많은 기구들이 발전하게 되었다.
...오영택 /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산부인과, WOMB STORY 30호, April 2025, P14~17
복강경 수술은 최소 침습적 접근법으로 환자의 회복 시간을 단축시키고 합병증을 줄이는 중요한 기술로 자리 잡고 있다.
...정근오 / 칠곡경북대학교병원 산부인과, WOMB STORY 30호, April 2025, P18~22
복강경 수술과 관련된 장 손상은 비교적 드물지만 특히 수술 후에 장 손상이 진단되어질 경우 높은 발명률과 사망률을 동반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된다.
...김태훈 /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산부인과, WOMB STORY 30호, April 2025, P23~26
복강경 수술은 개복 수술에 비해 learning curve가 길기 때문에 초심자가 충분한 훈련을 받기 전에는 복강경 수술의 합병증 위험이 높을 수밖에 없다.
...김정식 /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산부인과, WOMB STORY 30호, April 2025, P27~29
산부인과 단일공 복강경 수술 시 배꼽을 중심으로 한개의 절개창을 만드는데, 배꼽에 넣은 포트를 제거한 후 절개 부위를 봉합하여 거의 모든 수술을 단일공으로 마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