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verUpdate 34호_B형 간염 - 아직 풀리지 않은 궁금증들
- Home
- LiverUpdate 34호_B형 간염 - 아직 풀리지 않은 궁금증들
Magazine Overview

저자
Keyword
Greeting
Liver Update 독자 선생님들, 무더위 장마와 지겹게 계속되는
코로나 사태에도 모두 안녕하신지요?
이번 34호 Liver Update의 주제는 'B형 간염 - 아직 풀리지 않은 궁금증들'입니다.
만성 B형 간염 치료제로 nucleos(t)ide analogue(NAs)들이 도입된지도
20년 이상 되었고 합병증 및 사망률을 감소하는데 많이 기여했지만
아직 단기간에 완치가 되지 않고 장기간 투약이 필요한 실정입니다.
현재 만성 B형간염의 치료대상은 면역제거기와 재활성화기에 국한하고 있는데
면역관용기 환자라도 간섬유화가 적지 않고 간암발생 및, 사망,
간이식 위험이 치료받은 면역제거기 환자보다 높다는 최근의 보고들은
면역관용기에도 치료를 시작해야 할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현재 B형간염의 치료목표는 HBsAg이 소실되는 기능적 완치(functional cure)입니다.
HBsAg 소실 후에는 대개 재발없이 간경변증으로의 진행이나 합병증 발생위험도
감소하지만 정기적인 간암 스크리닝은 계속 필요합니다.
B형 간염의 수직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HBV DNA 200,000IU/ml이
상인 산모에게는 임신 24-32주부터 TDF를 사용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C형 간염처럼 단기간에 B형 간염을 완치시킬 수 있는 신약들이 하루 빨리
개발되기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2021년 7월
리버업데이트 편집책임
한국간재단 이사장 서동진
칼럼 리스트
임영석/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LiverUpdate 34호, July 2021, P6~10
만성 B형간염의 자연 경과는 면역관용기 – 면역활동기 – 비활동성 간염 – e항원 음성 활동성간염의 네 가지 시기로 순차적 전이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고명지, 최문석/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LiverUpdate 34호, July 2021, P11~15
경구용 항바이러스제 치료 중단 시 단기적으로는 간염의 급성 악화 및 간부전의 위험이, 장기적으로는 간세포암 및 간경변증 진행의 위험이 있다.
...장정원/가톨릭의대 서울성모병원/LiverUpdate 34호, July 2021, P16~20
만성B형간염의 자연경과 중 HBsAg의 소실은 기능적인 완치상태(functional cure)로 항바이러스 치료의 이상적인 종결 시점이지만 이는 매우 드물고, 장기간의 치료가 필요한 치료 목표이다.
임형준, 김태형/고려의대 고려대학교 안산병원/LiverUpdate 34호, July 2021, P21~24
현재 만성 B형간염 환자에서 널리 쓰이는 약제로 엔테카비어와 테노포비어가 있으며 최근 엔테카비어보다 테노포비어를 투여받는 환자에서 간암 발생 빈도가 낮다는 보고에 대해 많은 논란이 있다.
...손주현, 안지현/한양의대 한양대학교구리병원/LiverUpdate 34호, July 2021, P25~29
주산기감염 예방사업으로 인해 우리나라에서 B형간염의 수직감염은 크게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일정 빈도의 수직감염이 발생하고 있다.
...이재승, 안상훈/연세의대 신촌세브란스병원/LiverUpdate 34호, July 2021, P30~35
현재 사용 중인 항바이러스제는 만성 B형간염을 관리하는 데에 효과적이지만 완치 유도와 약제 중단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B형 간염 약제들의 개발 및 기전과 임상연구 현황을 ...
박동균/가천의대 가천대학교길병원/LiverUpdate 34호, July 2021, P36~39
40세까지는 소화기내과 의사, 의과대학 교수가 되기 위한 과정만을 걸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