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nejour 13호 - 골다공증 치료를 위한 주사제재 리뷰
- Home
- Bonejour 13호 - 골다공증 치료를 위한 주사제재 리뷰
Magazine Overview

저자
Keyword
Greeting
BoneJOur 독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날씨가 추워지면서 코로나가 다시 기승을 부리는 요즈음
모두가 연말을 우울하게 보 내지 않을까해서 걱정이 앞서는 겨울입니다. 금년 한해는 이렇게 흘러 가는 것 같습니다.
이번 겨울 코로나 3차 유행 시기에 독자 여러분들의 건강을 기원하는 바입니다.
해외 학회뿐만 아니라 국내의 거의 모든 학회들이 온라인 비대면으로 개최된 것 같습니다.
이러한 와중에 BoneJOur지가 여러분들의 마음에 조금이나마 위로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이번호에서는 골다공증에 사용되는 모든 주사제재를 리뷰해 보았습니다.
더불어 우리나라 유일의 골다공증 재단인 여성건강 및 골다공증 재단의 미래 비전에 대해서도 소식을 실어 보았습니다.
주사 제재인 이반드로네이트, 졸레드로네이트, 부갑상선 호르몬 제재, 데노수맙, 로모조주맙,
아직 국내에는 소개가 되지 않은 아발로파라타이드까지 소개하였으며,
주사제 치료후의 후속 조치에 대한 내용까지 주사제 치료의 모든 것을 담아 보았습니다.
어려운 시기에 마음의 안정과 지식 습득 면에서도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BoneJOur 편집책임
한양의대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박예수
칼럼 리스트
이동옥, 국립암센터/산부인과, Bonejour 13호, December 2020, p.6~8
3개월에 한 번 주사 혹은 한 달에 한 번 경구 복 용으로 골다공증을 치료하는 간편한 방법, 본비 바, 골반골절 예방에는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지만, 고위험군에서는 효과.
...최한석, 동국의대 동국대학교 일산병원/내분비대사외과, Bonejour 13호, December 2020, p.9~12
졸레드로네이트는 비스포스포네이트 계열의 강 력한 골흡수 억제제로서 1년에 한 번 투여하는 주사제로 개발되었다.
...김광균, 건양의대 건양대학교병원/정형외과, Bonejour 13호, December 2020, p.13~17
테리파라타이드는 대퇴골 근위부의 골밀도 향상과 고관절을 포함한 비척추의 골절을 감소 시킨다.
...김영상, 건양의대 건양대학교병원/정형외과, Bonejour 13호, December 2020, p.18~21
골다공증은 장기간의 치료가 필요한 만성 질환이다. 실제로 현재까지 개발되어 온 다양한 골다공증 약물들은 골다공증 환자에서 골절의 위험도를 낮추는데 기여해 왔다.
...윤필환,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정형외과, Bonejour 13호, December 2020, p.22~25
고령화 사회가 되어가며 골다공증성 골절의 예방 및 골다공증의 치료의 중요성은 점점 더 강조되고 있습니다.
...이시훈, 가천의대 가천대길병원/내분비대사내과, Bonejour 13호, December 2020, p.26~29
현재까지 골다공증 치료의 중심에는 골흡수억제제가 있 었는데 그 중 특히 비스포스포네이트는 척추, 고관절 및 비척추 골절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효능이 입증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물이다.
...김범택, 아주의대 아주대학교병원/가정의학과, Bonejour 13호, December 2020, p.30~32
데노수맙이나 로모소주맙을 사용한 후에는 반드시 골흡수억제제를 사용하여 떨어지는 골밀도를 막아주어야 하며 이에 대해서 가장 중요한 대안은 경구 비스포스포네이트이다.
...최용준, 아주의대 아주대학교병원/내분비대사내과, Bonejour 13호, December 2020, p.33~35
낙상은 골다공증 골절의 잘 알려진 위험 인자이며 일부 약물은 낙상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박예수, 재단 사무총장 한양의대, Bonejour 13호, December 2020, p.36~37
한국여성건강 및 골다공증재단은 2008년 여성건강 및 골다공증에 대한 대국민 교육 및 홍보, 보건의료인 교 육 및 홍보, 실태조사 및 연구지원사업, 취약계층 여성 지원사업, 국제교류 사업을 목적으로 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