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MindUp 1호_성인 ADHD

Magazine Overview

발간일: 2019-12-27
MindUp 1호_성인 ADHD

저자

전덕인, 정종현, 심세훈, 서정석, 우영섭, 김원, 이강수, 박성용, 남범우

Keyword

ADHD, 불안장애, 공존질환, 약물, 마음, 행동, 벤조디아제핀계, 양방, 양의사, 여성갱년기
신풍제약 Side_1
celltrion_side banner
hanmi_science_side
ILDONG
코오롱제약(주)
일동후디스
SK케미칼
대웅제약

Greeting

MindUp독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2019년을 마무리하는 달에 정신건강의학과 전문 매거진 “MindUp”을 창간하게 됨을 매우 기쁘게 생각하며, 독자 여러분께 관련 최신지견 및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에 큰 책임감을 가집니다.

최근 국내외 정신의학계에서는 성인 ADHD(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에 대한 학문적 재평가와 치료적 접근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더불어 국내에서는 ADHD 치료약물에 대하여 18세 이전에 ADHD 진단을 받은 환자만 요양급여가 가능했지만, 2016년 8월부터 성인기에 처음으로 진단을 받은 성인 ADHD 환자에게도 요양급여가 확대되었고, 2019년 12월부터는 모든 연령대에서 ADHD 치료제 중 정신자극제 또는 비정신자극제 한 가지를 최소 1개월 이상 투여 후 임상적 반응이 충분하지 않을 때는 추가로 작용기전이 다른 치료제 1종을 급여로 처방할 수 있게 되는 등 ADHD 치료의 적극적 대처가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부응하여 성인 ADHD라는 시의적절한 주제로 정신건강의학과 최신정보지 MindUp 창간호를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정신건강의학과 전문 매거진인 MindUp은 이번 창간호를 시작으로 향후에도 독자 여러분께서 환자 진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주제를 선정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자 하오니 많은 관심과 애정을 부탁드립니다.

바쁘신 와중에도 기꺼이 집필을 맡아주신 집필진과 더불어 주제 선정 및 감수에 힘써주신 편집위원 교수님들께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감사합니다.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박원명

신풍제약 Side_2
celltrion_middle banner
koron_middle_main

칼럼 리스트

1. 성인에서 ADHD는 왜 중요한가?

전덕인,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정신건강의학과, MindUp 1호, DEC 2019, p.6~9

• 성인 ADHD는 성인에서 3~4% 정도에서 나타날 정도로 흔한 정신건강 문제이다.• Underdiagnosis와 misdiagnosis는 성인 ADHD에서 가장 해결해야 할 문제이며,특히 기분장애나...

2. 성인 ADHD는 무엇인가? : 정의와 임상양상

정종현, 가톨릭대학교성빈센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MindUp 1호, DEC 2019, p.10~12

성인기에서의 ADHD는 소아기의 ADHD와 다른 임상양상을 보인다. 특히 어려서ADHD진단을 받지 못 한 경우에는 진단이 쉽지 않다. 과잉행동은 없지만 부주의함, 안절부절, 충동성 등의 증상을 보이는 ...

3. 진료실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성인 ADHD 진단도구들

심세훈, 순천향대학교천안병원/ 정신건강의학과, MindUp 1호, DEC 2019, p.13~17

ADHD 소아의 30~70%는 성인이 되어서도 ADHD의 진단기준을 만족하며 일상생활에서의 체계화 또는 분노조절과 같은 여러 영역에서 기능저하를 가져 오기 때문에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

4. 성인 ADHD의 진단과 치료가 어려운 이유 : 감별 및 동반질환

서정석, 건국대학교충주병원 / 정신건강의학과, MindUp 1호, DEC 2018, p.18~21

성인 ADHD는 진단과 치료가 쉽지 않다.왜냐하면 2016년 8월 이후에 처음 소개된 질병이기에 아직까지는 진단이 생소하다. 그리고 유사 증상을 보이는 다른 신체질환이나 정신과 질환과 감별을 해야 하며...

5. 성인 ADHD, 어떤 약물을 선택해야 할까?

우영섭, 가톨릭대학교여의도성모병원 / 정신건강의학과, MindUp 1호, DEC 2018, p.22~28

성인 ADHD는 전두엽의 기능장애로 생기는 신경정신 질환이다. 성인 ADHD 치료는 소아 ADHD와 마찬가지로 약물 치료가 우선이다. 성인 ADHD 환자들은 적절한 치료를 통해 증상 호전 및 정상적인 ...

6. 성인 ADHD의 인지행동치료 : 환자의 마음과 행동에 도움이 되는 지침

김 원, 인제대학교상계백병원 / 정신건강의학과, MindUp 1호, DEC 2018, p.29~33

성인 ADHD 치료에는 약물 치료 이외에도 심리, 행동, 교육적 중재를 포괄하는 통합적인 치료가 중요하고 인지행동치료가 이런 통합치료계획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
7. [Special Column] 벤조디아제핀계 약물 처방 시 치매의 위험성

이강수, 차의과학대학교분당차병원 / 정신건강의학과, MindUp 1호, DEC 2018, p.34~37

• 벤조디아제핀은 기억 및 집중력 감소, 지남력 저하, 협응능력 저하등의 인지기능부작용이 있다.• 벤조디아제핀과 알츠하이머 치매와의 연관성이 제기되고 있으나, 인과론적관계에 있다는 것은 밝혀지지 않았다...

8. [Special Column] 양방, 양의사 용어 사용의 폐해

박성용, 계요병원 / 정신건강의학과, MindUp 1호, DEC 2018, p.38~41

• 오늘날 양방, 양의사와 같은 표현이 일반 시민들 사이에서뿐만 아니라 의료계내부에서조차 자주 쓰이고 있다.• 양방, 양의사 용어 사용의 역사적 유래 및 시대적 배경을 고려해본다면 그 용어사용은 결코 ...

9. [Special Column] 여성 갱년기에 나타나는 정신신체 증상의 치료 : 호르몬의 안전성 논란은 '현재진행형'

남범우, 건국대학교충주병원 / 정신건강의학과, MindUp 1호, DEC 2018, p.42~44

갱년기에 나타나는 정신신체증상의 치료에는 일차적으로 정신사회적 요법들을 고려해야 하며 효과가 부족한 경우 정신약물이 유용한 대안이 될 수 있다.갱년기를 의미하는 Climacteric 은 사다리의 가로 ...